2024년도 2학기 베리타스하우스 활동이 막바지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이번 학기를 마지막으로 베리타스하우스를 떠나는 RA 중 ▲3분반 김수찬 RA, ▲5분반 이우성 RA, ▲8분반 이준희 RA, ▲9분반 윤가현 RA를 인터뷰 해보았다. 그 중 RC 학생들이 RA에게 가장 궁금할 것 같은 질문들을 선정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백채헌 RC(맨 오른쪽)가 5분반 이우성 RA, 9분반 윤가현 RA를 인터뷰하는 모습
Q. RA를 하며 제일 기억에 남는 순간이나 아쉬운 일이 있다면?
이우성 RA: 많은 활동을 진행해 기억에 남는 활동들이 많지만, RC 문화제에서 서로 다른 하우스의 RA들과 함께 힘을 합쳐 ‘풍선’ 노래를 불렀던 것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담당하는 RC 학생들에게 제가 도움이 되었는지 알 수 없는 부분이 가장 아쉬운 것 같습니다.
윤가현 RA: 처음 RC 학생들과 개인적으로 상담을 시작했을 때 기대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걱정도 많았습니다. 상담을 하다 보니 오히려 RC 학생들이 저에게 간식을 주며 호의적으로 대해주었고 이런 RC 학생들의 따뜻한 마음씨에 긴장이 풀린 상태로 상담할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분반모임 때에도 긴장하지 않고 잘 운영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만 분반모임은 형식적으로 진행되는 부분이 다소 있기 때문에 RC 학생들과 모두 함께 친해지는 데 한계가 있어 아쉬웠습니다.
Q. RC 학생들을 위한 노력 중에 자랑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이우성 RA: RC 문화제 무대 준비에 생각보다 많은 노력과 정성을 들였습니다. 완성도 높은 무대를 만들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했던 것 같습니다.
윤가현 RA: 개인적으로 부탁이나 질문으로 연락이 왔을 때 단순히 대답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연락을 이어가며 친해지려고 노력했던 것 같습니다. 덕분에 마음이 맞는 RC 학생들이 생겨서 학기가 끝났음에도 종종 만나고 있습니다.

▲인터뷰하는 3분반 김수찬 RA(좌), 8분반 이준희 RA(우)의 모습
Q. RA를 하며 제일 기억에 남는 순간이 있다면?
김수찬 RA: 베리타스하우스 RA들이 협력하여 만든 하우스 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서로 협력하며 친해지는 모습을 보았을 때가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처음엔 어색해하던 학생들이 나중에는 서로 돕고 즐기는 모습을 보며, 제가 RC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생각이 들었고 이에 큰 보람을 느꼈습니다.
이준희 RA: 학기가 끝날 때쯤 RC 학생들과 한 명씩 마지막 인사를 하는데, 그때 한 학기 동안 감사했다고 편지도 받고, 카톡으로 연락도 받았던 적이 있습니다. 모두 한 학기 동안 잘 챙겨줘서 감사하다는 내용이었는데, 한 학기 동안 RC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던 RA였던 것 같아 보람을 느꼈던 순간이 가장 기억에 남습니다.
Q. RC 학생들을 위한 노력 중에 자랑하고 싶은 것이 있다면?
김수찬 RA: RC 학생들과 소통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단순히 과제와 프로그램 공지하는 것을 넘어서, 각 RC 학생 개개인의 상황을 파악하고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습니다. 학업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에게 제가 가지고 있는 공부 자료를 제공하거나 기숙사 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친구들에게 제가 경험했던 것을 바탕으로 조언을 해주었던 순간들이 기억에 남습니다.
이준희 RA: 지난 1학기에 한 학기가 끝날 때쯤, 분반 RC 학생들에게 손편지를 작성해서 전달한 적이 있습니다. RA가 처음이었던 만큼, 처음 맡았던 RC 학생들이었기에 더 특별했던 것 같습니다. 한 학기 동안 학교에 적응하느라 고생했고, 2학기에도 학교생활을 열심히 하라는 내용의 응원 메시지를 작성했습니다. 당시에 18개의 편지를 작성하느라 조금 힘들었던 기억이 있지만, RC 학생들을 위한 노력을 잘 보여줬던 사례였던 것 같습니다.
Q. RA를 하고 싶은 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이우성 RA: RA 활동은 연세대학교에서만 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경험이라 생각합니다. 특히 대학 생활을 하면서 큰 책임감을 가지고 다양한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RA라는 자리는 우리 학교만의 특별한 혜택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윤가현 RA: RA를 하고 싶은 여러분, ‘RA에 떨어지면 어떡하지’라는 막연한 고민으로 포기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기회를 잡으려고 노력한 사람에게 더 큰 기회가 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RA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 학생들은 이미 RA가 될 자격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부족한 부분은 RA를 하며 채워나가고 여러 활동 속에서 다른 RA들과 화합하며 배워나가면 됩니다! RA를 지원하고자 하는 모든 RC 학생들을 응원하고, 본받을 점이 많은 배정상 마스터 교수님과 함께 RA 활동을 하길 추천드립니다!
김수찬 RA: RA를 고민하고 있다면 한 학기를 경험한 저로서 RA를 지원하라고 자신 있게 추천하고 싶습니다. 분반 학생들을 통솔하면서 책임감과 리더십이 무엇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때로는 일이 많아 힘들 수도 있지만, 학생들과 적극 소통하며 그들의 고민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저 자신도 많이 성장했다고 생각합니다. 나 자신을 성장시키는 기회를 얻고 싶다면 RA를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이준희 RA: 열정만 가지고 있으면 누구든 RA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RA 지원 시기에 담당 분반 RC 학생들과 자치회 RC 학생들에게 연락이 많이 오고, 지원서 방식, 면접에 대해 많이 물어봤던 것 같습니다. 이번 학기에 합격하지 못하더라도 열정만 있다면 RA가 될 자질이 충분하니 첫 도전이 마지막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다음 학기 또는 그 다음 학기에도 언제나 RA에 도전해보라고 이야기해 주고 싶습니다.
이로써 2024년도 베리타스하우스에서 마지막 활동을 마무리한 RA들의 인터뷰를 끝마친다. RC 학생들과 더불어 RA 모두 베리타스하우스를 통해 좋은 추억을 많이 만들어 갔길 바란다. 다음 한 해도 함께 성장하는 베리타스하우스의 모습을 기대해본다.
글·취재 도움ㅣ 인턴 기자 백채헌 RC